지난달 고3 학력평가에서 절반 가까운 학생이 고득점자들이 몰리는 수학 '미적분'과 국어 '언어와 매체'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컸기 때문인데, 졸업생들까지 가세하는 수능에서는 이런 쏠림 현상이 더 심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입 수능에 대비해 지난달 24일 치러진 고3 학생들의 첫 학력 평가. <br /> <br />문과 이과 구분이 없어 국어와 수학은 공통과 선택과목 체제로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번 학력평가에서 절반에 가까운 학생이 고득점자가 몰리는 수학 '미적분'과 국어의 '언어와 매체'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가 2만 명에 가까운 고3 학생의 가채점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수학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이 48.3%로 확률과 통계 47%보다 더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3월 학력평가에선 확률과 통계 선택 학생이 2배 가까이 많았고, 수능에서도 12%포인트 많았는데 역전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는 같은 선택과목 응시자의 공통과목 평균이 높으면 최종 수능점수인 표준점수가 높아지는 수능의 특성에 따라 선택과목별 유불리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의 공통과목 평균점은 42.4점으로 확률과 통계 22점에 비해 20점 이상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똑같이 90점을 받아도 최종 수능점수인 표준점수는 미적분 선택학생이 4점 더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수학 1등급도 96%를 미적분 선택 학생이 싹쓸이했고, 확률과 통계 선택학생은 1등급의 2.1%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국어도 언어와 매체가 49.2%, 화법과 작문이 50.8%로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공통과목 평균은 언어와 매체 선택학생이 10점 이상 높아 국어 1등급의 94%를 가져갔습니다. <br /> <br />[장지환 / 배재고 교사(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) : 언어와 매체, 미적분에서 1~2문제를 더 틀려도 다른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과 같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 수능에서 선택과목별 유불리를 지켜본 상위권 수험생들이 미적분과 언어와 매체로 대거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은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없다면서도 선택과목별 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가운데, 졸업생까지 합세하는 올해 수능에서는 이런 쏠림 현상이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현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현준 (shinhj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40400270323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